티스토리 뷰

문제

인하대학교 학생회에서는 중간, 기말고사 때마다 시험 공부에 지친 학우들을 위해 간식을 나눠주는 간식 드리미 행사를 실시한다. 승환이는 시험 기간이 될 때마다 간식을 받을 생각에 두근두근 설레서 시험 공부에 집중을 못 한다. 이번 중간고사에서도 역시 승환이는 설레는 가슴을 안고 간식을 받기 위해 미리 공지된 장소에 시간 맞춰 도착했다. 그런데 이게 무슨 날벼락인가! 그 곳에는 이미 모든 학생들이 모여있었고, 승환이는 마지막 번호표를 받게 되었다. 설상가상으로 몇몇 양심에 털이 난 학생들이 새치기를 거듭한 끝에 대기열의 순서마저 엉망이 되고 말았다. 간식을 나눠주고 있던 인규는 학우들의 터져 나오는 불만에 번호표 순서로만 간식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그제야 학생들이 순서대로 줄을 서려고 했지만 공간이 너무 협소해서 마음대로 이동할 수 없었다. 다행히도 대기열의 왼쪽에는 1열로 설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하여 이 공간을 잘 이용하면 모두가 순서대로 간식을 받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 자칫 간식을 못 받게 될지도 모른다는 위기감을 느낀 승환이는 자신의 컴퓨터 알고리즘적 지식을 활용해 과연 모든 사람들이 순서대로 간식을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는 프로그램을 만들기로 했다. 만약 불가능 하다면 승환이는 이번 중간고사를 망치게 될 것 이고 가능하다면 힘을 얻어 중간고사를 잘 볼 수 있을지도 모른다.

사람들은 현재 1열로 줄을 서있고, 맨 앞의 사람만 이동이 가능하다. 인규는 번호표 순서대로만 통과할 수 있는 라인을 만들어 두었다. 이 라인과 대기열의 맨 앞 사람 사이에는 한 사람씩 1열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있다. 현재 대기열의 사람들은 이 공간으로 올 수 있지만 반대는 불가능하다. 승환이를 도와 프로그램을 완성하라.

현재 간식 배부 공간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위 예제는 다음 그림과 같이 움직였을 때 모두가 순서대로 간식을 받을 수 있다..

입력

입력의 첫째 줄에는 현재 승환이의 앞에 서 있는 학생들의 수 N(1 ≤ N ≤ 1,000,자연수)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승환이 앞에 서있는 모든 학생들의 번호표(1,2,...,N) 순서가 앞에서부터 뒤 순서로 주어진다.

출력

승환이가 무사히 간식을 받을 수 있으면 "Nice"(따옴표는 제외)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다면 "Sad"(따옴표는 제외)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5
5 4 1 3 2

예제 출력 1 복사

Nice

 

 

코드

문제는 입력 받은 정렬되지 않은 순서의 5 4 1 3 2를

정렬된 순서인 1 2 3 4 5 순서로 바꾸는 것이다.

import java.util.*;
import java.lang.*;
import java.io.*;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 (String[] args) throws java.lang.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Queue<Integer> q = new LinkedList<>(); //대기열
	    Stack<Integer> s = new Stack<>(); // 추가 대기열
	    
	    for(int i=0; i<N; i++){
	        q.offer(Integer.parseInt(st.nextToken()));
	    }
	    
	    int order = 1;
	    
	    while(!q.isEmpty()){
	        if(q.peek() == order){
	            q.poll();
	            order++;
	        }else if(!s.isEmpty() && s.peek() == order){
	            s.pop();
	            order++;
	        }else{
	            s.push(q.poll());
	        }
	    }
	    
	    while(!s.isEmpty()){
	        if(s.peek() == order){
	            s.pop();
	            order++;
	        }else{
	            System.out.println("Sad");
	            return;
	        }
	    }
	    System.out.println("Nice");
	    
	    	}
}

 

문제는 자바에서 지원되는 queue메서드를 사용해서 풀었다.

q.offer을 이용해서 받은 값을 넣어줬다.

q.peek() == order

 

q.peek()를 사용해서 가장 먼저 나갈 프론트 값을 확인해서 

순서와 비교를 했다.

else if(!s.isEmpty() && s.peek() == order){
	s.pop();
	order++;
}

 

stack이 비어있는지 확인 후 스택의 값이 순서와 같다면

스택에서 출력을 해주고 순서를 높인다.

 

이 부분이 실수하기 쉽다. 

 

예로

order : 2

Stack : 3 

que : 2, 4 ,1  인 상황이라면  

 

다음 상황은 

order : 3

Stack : 3 

que :  4 ,1  일것이다.

 

스택에 필요한 값이 있기에 스택을 꼭 확인을 해줘야된다. 

 

s.push(q.poll());

 

모든 상황이 아니라면 스택에 q값을 넣어준다.

 

마지막으로 스택에 있는 값을 확인을 하고 

출력을 Sad, Nice를 판단한다.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1866 요세푸스 문제0  (0) 2024.05.01
백준 18258 큐2  (0) 2024.04.30
백준 10773 제로  (0) 2024.04.25
백준 28278 스택2  (0) 2024.04.25
백준 2231 분해합  (0) 2024.04.09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