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알고리즘

백준 2231 분해합

파이 2024. 4. 9. 21:17
문제

어떤 자연수 N이 있을 때, 그 자연수 N의 분해합은 N과 N을 이루는 각 자리수의 합을 의미한다. 어떤 자연수 M의 분해합이 N인 경우, M을 N의 생성자라 한다. 예를 들어, 245의 분해합은 256(=245+2+4+5)이 된다. 따라서 245는 256의 생성자가 된다. 물론, 어떤 자연수의 경우에는 생성자가 없을 수도 있다. 반대로, 생성자가 여러 개인 자연수도 있을 수 있다.

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 N의 가장 작은 생성자를 구해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자연수 N(1 ≤ N ≤ 1,000,000)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답을 출력한다. 생성자가 없는 경우에는 0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216

예제 출력 1 복사

198

 

 

 코드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 (String[] args) throws java.lang.Exception {
	    Scanner in = new Scanner(System.in);
		String a = in.nextLine();
		
		int n = a.length();
		int end = Integer.parseInt(a);
		int M = Integer.parseInt(a) - (9*n);
		
		int c=0;
	
		
	    for(int i=M; i<end; i++){
	        int sum=0;
	        int num=i;
	        sum += i;
	        for(int j=0; j<n; j++){
	            sum = sum + (num%10);
	            num /= 10;
	        }
	        
	        if(sum == end){
	            c = i;
	            break;
	        }
	        
	    }
	    
	    System.out.println(c);
		
		
	}
}

 

 

198에서 

198 + 1 + 9 + 8 으로 기존 숫자에서 자릿수의 숫자를 더하는 방식이다.

 

다른 방식 풀이의 경우에는 1 ~ 198까지 숫자를 센다면

나는 자릿수의 숫자는 무조건 9이하이기때문에 

3자리수라면 최대 27 일 것이기에

 

(기존숫자 - 자리수 * 9) 부터 탐색을 시작했다.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0773 제로  (0) 2024.04.25
백준 28278 스택2  (0) 2024.04.25
백준 2798번 블랙잭  (0) 2024.04.08
백준 2869 달팽이는 올라가고 싶다.  (1) 2024.04.06
백준 알고리즘 공부 -11(실버 4 )  (0) 2024.04.05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