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문제

 

 

상근이의 할머니는 아래 그림과 같이 오래된 다이얼 전화기를 사용한다.

 

전화를 걸고 싶은 번호가 있다면, 숫자를 하나를 누른 다음에 금속 핀이 있는 곳 까지 시계방향으로 돌려야 한다. 숫자를 하나 누르면 다이얼이 처음 위치로 돌아가고, 다음 숫자를 누르려면 다이얼을 처음 위치에서 다시 돌려야 한다.

숫자 1을 걸려면 총 2초가 필요하다. 1보다 큰 수를 거는데 걸리는 시간은 이보다 더 걸리며, 한 칸 옆에 있는 숫자를 걸기 위해선 1초씩 더 걸린다.

상근이의 할머니는 전화 번호를 각 숫자에 해당하는 문자로 외운다. 즉, 어떤 단어를 걸 때, 각 알파벳에 해당하는 숫자를 걸면 된다. 예를 들어, UNUCIC는 868242와 같다.

할머니가 외운 단어가 주어졌을 때, 이 전화를 걸기 위해서 필요한 최소 시간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알파벳 대문자로 이루어진 단어가 주어진다. 단어의 길이는 2보다 크거나 같고, 15보다 작거나 같다.

 

출력

 

첫째 줄에 다이얼을 걸기 위해서 필요한 최소 시간을 출력한다.

 


기존 방식 (스위치문)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in = new Scanner(System.in);
		
		String s = in.nextLine();
 
		int count = 0;
		int k = s.length();
        
		for(int i = 0; i < k; i++) {
        
			switch(s.charAt(i)) {
            
			case 'A' : case 'B': case 'C' : 
				count += 3;
				break;
                
			case 'D' : case 'E': case 'F' :
				count += 4; 
				break;
                
			case 'G' : case 'H': case 'I' :
				count += 5; 
				break;
                
			case 'J' : case 'K': case 'L' : 
				count += 6;
				break;
                
			case 'M' : case 'N': case 'O' :
				count += 7;
				break;
                
			case 'P' : case 'Q': case 'R' : case 'S' : 
				count += 8; 
				break;
                
			case 'T' : case 'U': case 'V' : 
				count += 9;
				break;
                
			case 'W' : case 'X': case 'Y' : case 'Z' : 
				count += 10;
				break;
			}
		}		
		System.out.print(count);
	}
}

 

위의 방식은 기본적으로 많이들 사용하시는 방법입니다. 

스위치문을 사용해서 값을 도출하는 형식입니다.

 

두번째 방법(HashMap)

import java.util.*;
import java.lang.*;
import java.io.*;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 (String[] args) throws java.lang.Exception {
	    Scanner in = new Scanner(System.in);
		
		HashMap<Character,Integer> tel = new HashMap<>();
			
		tel.put('1', 2);
		tel.put('0', 11);
		
		char ch = 'A';
		
		for(int i=2; i<=9; i++){
		    int count = (i == 7 || i == 9) ? 4 : 3;
		    for(int j=1; j<= count; j++){
		        tel.put(ch , i+1 );
		        ch = (char)(ch+1);
		        
		    }
		}
		
		for(int i=1; i<=4; i++){
		    ch = (char)(ch+1);
		    tel.put(ch , 10 );
		}
		
		String str = in.next();
		int sum = 0;
		
		for(int i=0; i<str.length(); i++){
		    sum += tel.get(str.charAt(i));    
		}
		
		System.out.println(sum);
		in.close();	
		
		}
}

 

저는 이번에 두 번째 풀어보면서 조금 다르게 접근했습니다.

 

하나 하나 입력하기 너무 귀찮은데 방법이 없을까??

개발자로서 많이 생각할 이유일 거 같습니다. 

 

제가 목표로 한 부분은 반복문을 통해서 코드를 줄여보자 였습니다.

 

Map을 사용해서 알파벳과 값을 넣어주는 방식을 진행했습니다.

 

int count = (i == 7 || i == 9) ? 4 : 3;

7번과 9번의 경우 알파벳이 4개이므로 삼항 연산자를 사용해서 반복 횟수를 설정했습니다.

 

ch = (char) (ch+1)

문자를 A~Z 까지 높입니다.

 

tel.get을 이용해서 Map에서 값을 들고와서 총 합계를 계산했습니다.


결과

스위치문과 메모리, 속도 측면에서 큰 차이가 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구현을 하기 위한 시간도 많이 든 상태고

가독성도 스위치 문이 바로 알아보기 좋은거 같습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